사단법인 한국생성AI파운데이션(KGAF)이 주최한 ‘KGAF 송년포럼’이 판교테크노밸리 내 경기스타트업캠퍼스에서 18일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K-AI 산업 발전과 생태계 구축을 핵심 주제로 삼아, 2024년의 성과를 돌아보고 2025년의 전략적 비전과 로드맵을 제시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행사는 KGAF AWARD 수상기업 쇼케이스를 시작으로, 생성AI 산업의 혁신적 사례와 기술 성과를 조명했다. 특히 이번 포럼은 ‘K-AI 산업 한류의 플랫폼으로의 도약’과 ‘K-AI Edu 프로젝트’를 주제로, 대한민국 AI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며 주목받았다.
1부 세션 'K-AI 산업 한류 플랫폼으로의 도약'에서는 AI 산업의 현황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이 논의됐다. 김경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이 축사를 통해 정부 차원의 AI 산업 지원 의지를 밝히고, 윤세리 법무법인 율촌 명예대표변호사가 AI 기술의 법적·산업적 전망을 제시했다. 이어 박광기 뉴패러다임미래연구소 소장은 '팍스코리아나 K-AI 기반 산업 한류혁명' 특별 발표에서 AI 기술이 한국 경제와 산업 구조에 가져올 혁신적 변화에 대해 구체적 사례와 비전을 제시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2부 세션에서는 'KGAF 생태계 구축의 필요성과 방향'을 주제로 한 K-AI Edu 프로젝트가 발표되었다. 구윤철 서울대 특임교수는 AI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해 인재 양성과 교육 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한국 AI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역설했다.
행사 마지막에는 2024년 사업 보고 및 2025년 사업 계획 발표가 이어졌으며, KGAF AWARD 수상기업들의 스피치와 시상이 진행되었다. 수상기업들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성과를 선보이며, 글로벌 도약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송세경 KGAF 회장은 “AI 산업이 한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기술 혁신과 더불어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KGAF는 앞으로도 기업, 학계, 정책이 협력하는 플랫폼을 통해 대한민국 AI 산업을 세계 시장으로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KGAF 송년포럼은 단순한 연말 행사를 넘어 K-AI 산업 생태계의 비전을 공유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실질적인 전략을 논의하는 뜻깊은 출발점이 되었다.